전체 글 68

to 부정사의 의미: 동사원형과의 차이

지난 글에 이어서 to 부정사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영어 문법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목적격보어에 어떤 것은 to 부정사로 쓰고, 어떤 것은 동사원형으로 쓰는가입니다.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에는 왜 동사원형을 쓸까?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에는 왜 동사원형을 쓸까?사역동사 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가장 풀기 힘든 수수께끼 중의 하나가사역동사(make, let, have)의 목적격보어에 to부정사를 사용하지 않고,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처음 배울 때 그냥onestep-tv.tistory.com to 부정사와 동사원형의 차이 문제는 to 부정사와 동사원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느냐입니다. 참고로, to부정사와 동명사(현재분사)의 차이는 『영어 문장의 체계』 ..

영어 공부법: 2년만 투자하면 평생 써먹는 영어

영어 공부 방법은 다른 공부와 다르지 않습니다. 딱 2년만 꾸준히 정확하게 하면 평생 자산이 되는 것이 영어입니다.  아래 경우에 해당하는 분들은 이 글을 잘 읽고 실천해 보세요. 영어를 처음 시작하시거나, 그런 자녀를 키우시거나, 수 년간 영어 실력에 진전이 없다고 느끼는 분  영어 문법책은 한 권만 보세요. 요즘 영어 문법책을 검색해 보면 대부분 단계별로 3~6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초급이나 중급책 한 권을 여러 번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기 때문에, 또는 배웠기 때문에 바로 중급책을 봐도 됩니다. 중급책이 1, 2로 나뉘어 있다면, 첫번째 책만 봐도 됩니다. 첫번째 책에도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다 들어 있을 겁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 권을 꾸준히 여러 번 공부해야 한..

영어 공부법 2025.03.21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에는 왜 동사원형을 쓸까?

사역동사 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가장 풀기 힘든 수수께끼 중의 하나가사역동사(make, let, have)의 목적격보어에 to부정사를 사용하지 않고,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처음 배울 때 그냥 외우고 넘어갔지만, 지금 곰곰히 생각해 보면 이게 말이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역동사는 '(사람, 사물)을 ~하게 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사실 '~하게 하다'는 의미의 동사는 매우 많지만, 사역동사라고 부르는 동사는 보통 make, let, have로 목적격보어에 동사원형을 쓰는 동사를 말합니다. 그밖의 동사들은 '~하게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도 목적격보어에 보통 to부정사를 씁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사역동사의 뜻은 명령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영어에서 명령문은 동사원형을 사용한다는 것은 여러..

be 동사의 뜻: ~이다 vs. 있다

be동사는 한국어로 '~이다'와 '있다(존재하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be동사가 '~이다'로 해석될 때는 2형식 동사이고,'있다'로 해석될 때는 1형식 동사가 됩니다. 한국어식으로 생각하면 '~이다'와 '있다'에는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고민해 보면, 영어의 be동사가 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된 것에는어느 정도 이유가 있습니다. 『영어 문장의 체계』 71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This phone is out of order. 이 전화기는 고장났다. ‘This phone is’를 ‘이 전화기가 있다(존재한다)’로 생각하면전치사구 ‘out of order(고장 난)’를 더했을 때의 뜻, “이 전화기는 고장났다”와 많은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이 경우에는 ‘This phone is’를 ..

영어 원서 읽는 방법: 현실적이고 효과적인 방법

다독 vs. 정독 영어 원서 읽기에 대해 흔히 알려진 방법으로"완벽하게 이해하려고 하지 말고,많이 봐서 자연스럽게 영어에 익숙해지려고 노력해라"라는 말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영어 원서 읽기뿐만 아니라 영어 듣기에서도 많이 나타납니다. 무작정 영어를 많이 듣고 영어에 "노출"을 많이 하면 영어를 잘 할 수 있다는 생각입니다. 이런 방식은 간단히 말해 "다독(多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이런 방법을 좋아하는데, 그 이유는 쉽고 편하기 때문입니다. 영어책이나 영화를 그냥 보고만 있어도 자연스럽게 영어가 된다고 하니 배우는 사람이나 가르치는 사람이나 속이 편합니다. 언어학자 중에서도 이런 다독과 무의식적 언어 습득을 주장한 학자들이 많이 있습니다. (Stephen Krashen, Christi..

영어 공부법 2025.03.04

영어 공부에 좋은 영어 원서 추천: 초급부터 고급까지

영어 원서로 공부하면 좋은 이유 저는 영어를 공부하다가 영어 문법책(영어 독해를 잡는다 : 《영어 문장의 체계》)을 쓰고,평소 관심 있었던 프로그래밍을 영문 문서를 보며 공부했습니다. 영어 원서를 읽으면 한 두 문단의 영어 지문을 읽는 것보다 기억에 더 오래 남습니다.책 한권을 읽으면 전체 내용의 긴 흐름이 머리속에 들어와서단순한 독해 능력 향상을 넘어, 어휘력과 사고력 확장에 더 도움을 주는 것 같습니다. 또, 재미 있습니다.프로그래밍 영문 공식 문서나 원서에서 찾을 수 있는 재미는한국어로는 어려운 글이 영어로는 쉬운 단어로 이해하기 쉽게 쓰여져 있다는 점입니다. 유명한 동화나 소설을 영어 원문으로 읽을 때에도한국어로 읽을 때에는 볼 수 없었던 것을 발견할 수 있는 것도 재미 있는 점입니다. 스콧 피츠..

영어 공부법 2025.02.28

개발자가 영어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영어 공부가 제일 가성비 좋다

많은 개발자분들이 영어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지만, 막상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막막해합니다. "영어 자료를 보고 싶은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이해하는 게 힘들다", "영어 인터뷰 너무 어렵다", "오픈소스 기여하려는데 영어가 제일 걱정된다"는 고민들이 많습니다.  왜 개발자에게 영어가 중요할까? 그리고 어떻게 공부해야 할까?  1. 최신 기술을 익히려면 영어가 필수 프로그래밍을 배우기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API 문서, 공식 가이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 문서들의 대부분은 영어로 되어 있습니다. 요즘은 기계가 잘 번역해 주지만, 영어를 알고 보면 한국어 번역은 영어 원문보다 더 이해하기 어렵게 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번역본을 읽다가 이해가 안 되서 영어 원문을 찾아 보고 이해가 되..

개발자 영어 2025.02.23

need + to부정사, 동명사: need의 목적어

영어의 동사들 중에는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갖는 동사, 동명사를 목적어로 갖는 동사, to부정사와 동명사를 모두 목적어로 갖는 동사가 있다고 합니다. 그 중에서 need는 보통 to부정사를 목적어로 갖는 동사로 분류되는데,동명사가 목적어로 나오기도 하고,need는 동명사도 목적어로 갖는 동사라는 설명도 볼 수가 있습니다.옥스포드 영영사전에도need 다음에 동명사를 목적어로 하는 예문이 나옵니다.  위 예문을 보면,먼저 'need + to부정사'의 형태가 나오고,밑에 'need + 동명사'와 함께 'need + to부정사' 형태의 예문이 나오는데,'need + 동명사' 형태는 수동적 의미(need to be p.p)를 지닌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즉, 'need to wash'와 'need washi..

영어 해석 잘하는 방법: 영어 해석 기호 사용해서 독해하기

영어를 열심히 공부해도해석을 잘 못하겠다고 하는 분들에게는어떤 문제점이 있는 것일까요? 무언가 분명히 잘못 생각하는 것이 있지만언어이다 보니 원인을 찾기는 어렵습니다. 수학 같으면 문제 풀이 과정에서 잘못된 것을 찾을 수 있는데,언어에서는 그렇게 엄격하게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그래서 한국어 조차도 잘못 알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저는 유튜브 영상에서 영어 해석 기호를 사용하면서해석을 하는데요. 혼자 독해를 할 때는 사용하지 않지만,다른 사람에게 영어 해석을 설명할 때는영어 문장의 구조를 쉽게 보여주기 위해서 기호를 사용합니다. 영어 해석 기호의 장점에 대해서는이전에 자세히 설명한 글이 있습니다.  영어 문장 쉽게 해석하는 방법 영어 문장 쉽게 해석하는 방법어떤 영어 문장이 나..

갑질, 진상, 꼰대 영어 표현

미국에도 ‘갑질’, ‘진상’, ‘꼰대’가 있을까?  최근 몇 년 동안, 한국의 주요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설립한다는 소식을 종종 접했을 겁니다. 이는 미국이 인플레이션 감축법(Inflation Reduction Act, IRA)을 통해 외국 기업의 미국 내 투자를 유도한 결과입니다.  인플레이션 감축법이란, 조 바이든 행정부의 ‘Build Back Better’ 정책의 일환으로 만들어진 법안으로, 기후 변화 대응, 의료 보험 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참고 링크 http://namu.wiki/w/인플레이션%20감축법)이 법안에 따라, 많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 공장을 세우기 시작했는데요. 하지만 이 과정에서 예상 못한 문화적 차이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합니다.    미국에서는..

영어뇌 만들기 2024.1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