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4

비인칭 주어 it과 가주어, 가목적어 it, It seems 구문

비인칭 주어 it 한국어에서는 주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영어에서는 어순이 중요하기 때문에 주어를 생략하지 않습니다. (회화나 SNS에서는 주어(I)를 생략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표현에 따라서 주어를 말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 영어에서는 비인칭 주어 it을 쓰는 방법이 있습니다. (수동태를 써서 주어를 생략하는 방법도 있습니다.)무엇을 주어라고 해야할지 알 수 없는 경우(날씨, 시간, 날짜, 요일, 계절, 거리 등)에도 it(비인칭 주어)을 주어 자리에 써서 형식적으로 문장의 주어를 갖춥니다. - 『영어 문장의 체계』24p 각주. 비인칭을 영어로 impersonal이라고 합니다. impersonal을 Cambridge 사전에서 찾아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이 있..

20세기 초 영미소설의 미·영 대입 시험 비중

20세기 초 영미소설은 현대 문학 교육의 기반을 형성하며, 미국 SAT/ACT 및 영국 A-Level 시험에서 중요한 평가 요소로 작용합니다. 2024년 기준, 영국 A-Level 영어 문학 시험의 28%가 1900-1930년대 작품을 직접 출제하며, 미국 SAT 독해 영역의 19%가 해당 시대 산문에서 발췌됩니다. 이는 난이도 조절과 문화적 교양 평가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분석됩니다↗↗↗. 미국 대입 시험SAT Critical Reading 구성문학 텍스트 비중: 2023년 개정 SAT에서 문학 패시지 비중은 40%로, 이 중 20세기 초 작품이 47%를 차지합니다. 피츠제럴드의 『The Great Gatsby』(1925) 발췌문은 2016-2023년 동안 6회 출제되어 최다 등장 작품으로 기록됩니다..

영어 원서 2025.04.30

앨더스 헉슬리(Aldous Huxley)의 『Mortal Coils』

앨더스 헉슬리의 단편집 『Mortal Coils』(1921)는 사랑, 환멸, 도덕적 타락을 주제로 1920년대 영국 사회의 단면을 풍자적으로 드러냅니다. 이 작품집은 셰익스피어의 "이 죽음의 소용돌이"("this mortal coil")에서 제목을 차용해 인생의 고통과 덧없음을 상징하며, 총 5편의 작품으로 구성됩니다. 특히 부유층의 위선적 관계(《The Gioconda Smile》), 예술가의 재발견(《The Tillotson Banquet》), 사랑의 복잡성(《Permutations Among the Nightingales》) 등을 통해 전후 사회의 정신적 공허를 날카롭게 비판합니다(참고: 위키피디아). 시대적 배경: 1920년대 영국과 '로어링 트웬티스'1920년대 영국은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후 ..

영어 원서 2025.04.30

Aldous Huxley의 『Crome Yellow』

주제『Crome Yellow』는 1921년에 출간된 Aldous Huxley의 첫 장편소설로, 영국 상류층의 지식인 사회와 그들의 허위의식, 공허함, 위선을 신랄하게 풍자합니다↗.주요 주제는 사회적 허위, 예술과 현실의 괴리, 개인의 정체성 탐색, 그리고 당대 영국 사회의 도덕적·정신적 공허함입니다↗.종교적, 영적 가치의 상실과 현대인의 내면적 갈등도 중요한 주제로 다뤄집니다. 주요 내용소설은 영국 시골의 대저택 ‘Crome’에서 벌어지는 일주일간의 모임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주인공 데니스 스톤(Denis Stone)은 젊은 시인으로, Crome 저택의 주인 헨리 윔브시(Henry Wimbush)와 다양한 손님들과 함께 지내며, 각 인물들의 허영, 자기기만, 사랑과 예술에 대한 고민을 관찰합니다.등장인물..

영어 원서 2025.04.29

20세기 초 영미소설과 21세기 영어의 차이

20세기 초 영미소설의 언어적 특징 어휘적 복잡성과 역사적 변천20세기 초 소설은 현대에 비해 고전 라틴어계 어휘의 빈도가 23% 높으며, 독일어·프랑스어 차용어 사용이 두드러집니다↗↗. 예를 들어, 포드 매덕스 포드(Ford Madox Ford)의 『The Good Soldier』(1915)에서는 "perspicacity"(통찰력), "sanguineous"(피비린내 나는) 같은 어휘가 빈번히 등장하는 반면, 21세기 소설에서는 이들이 "insight", "bloody"로 대체되었습니다. 또한 산업화 시대의 기술 용어(예: "aeroplane", "wireless")가 현대의 "airplane", "radio"로 변했습니다↗. 문장 구조의 진화당시 소설은 평균 문장 길이가 35단어로 현대 소설(22단어..

영어 원서 2025.04.29

20세기 초 영미문학의 대표 작가와 작품

20세기 초 영미문학은 모더니즘이라는 혁신적인 문예사조의 등장으로 큰 변화를 겪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산업화, 사회적 변화에 영향을 받은 작가들은 전통적인 문학적 관습을 거부하고 새로운 표현 방식과 주제를 탐구했습니다. 이 시기의 대표적인 영미 작가들과 그들의 주요 작품을 살펴보겠습니다. 모더니즘 문학의 시대적 배경모더니즘은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중반까지 이어진 문예사조로, 특히 1910년부터 1925년 사이에 절정에 달했습니다. 이 시기는 전 세계적인 산업화,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 러시아 혁명 등으로 인해 사회적, 정치적으로 급변하는 시기였습니다↗. 영국의 작가 버지니아 울프는 "인간의 본성이 1910년 12월경에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다"고 선언하기도 했습니다 ↗ . 이러한 변화 속에서 작..

영어 원서 2025.04.28

to 부정사의 의미: 동사원형과의 차이

지난 글에 이어서 to 부정사의 의미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영어 문법에서 가장 이해하기 어려운 것 중의 하나가 목적격보어에 어떤 것은 to 부정사로 쓰고, 어떤 것은 동사원형으로 쓰는가입니다.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에는 왜 동사원형을 쓸까?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에는 왜 동사원형을 쓸까?사역동사 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가장 풀기 힘든 수수께끼 중의 하나가사역동사(make, let, have)의 목적격보어에 to부정사를 사용하지 않고,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처음 배울 때 그냥onestep-tv.tistory.com to 부정사와 동사원형의 차이 문제는 to 부정사와 동사원형에는 어떤 차이가 있느냐입니다. 참고로, to부정사와 동명사(현재분사)의 차이는 『영어 문장의 체계』 ..

영어 공부법: 2년만 투자하면 평생 써먹는 영어

영어 공부 방법은 다른 공부와 다르지 않습니다. 딱 2년만 꾸준히 정확하게 하면 평생 자산이 되는 것이 영어입니다.  아래 경우에 해당하는 분들은 이 글을 잘 읽고 실천해 보세요. 영어를 처음 시작하시거나, 그런 자녀를 키우시거나, 수 년간 영어 실력에 진전이 없다고 느끼는 분  영어 문법책은 한 권만 보세요. 요즘 영어 문법책을 검색해 보면 대부분 단계별로 3~6권으로 되어 있습니다. 그 중에서 초급이나 중급책 한 권을 여러 번 보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영어를 배우기 때문에, 또는 배웠기 때문에 바로 중급책을 봐도 됩니다. 중급책이 1, 2로 나뉘어 있다면, 첫번째 책만 봐도 됩니다. 첫번째 책에도 거의 대부분의 내용이 다 들어 있을 겁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한 권을 꾸준히 여러 번 공부해야 한..

영어 공부법 2025.03.21

사역동사와 지각동사의 목적격보어에는 왜 동사원형을 쓸까?

사역동사 영어 문법을 공부하면서 가장 풀기 힘든 수수께끼 중의 하나가사역동사(make, let, have)의 목적격보어에 to부정사를 사용하지 않고, 동사원형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처음 배울 때 그냥 외우고 넘어갔지만, 지금 곰곰히 생각해 보면 이게 말이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사역동사는 '(사람, 사물)을 ~하게 하다'라는 뜻을 가집니다. 사실 '~하게 하다'는 의미의 동사는 매우 많지만, 사역동사라고 부르는 동사는 보통 make, let, have로 목적격보어에 동사원형을 쓰는 동사를 말합니다. 그밖의 동사들은 '~하게 하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어도 목적격보어에 보통 to부정사를 씁니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사역동사의 뜻은 명령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영어에서 명령문은 동사원형을 사용한다는 것은 여러..

be 동사의 뜻: ~이다 vs. 있다

be동사는 한국어로 '~이다'와 '있다(존재하다)'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be동사가 '~이다'로 해석될 때는 2형식 동사이고,'있다'로 해석될 때는 1형식 동사가 됩니다. 한국어식으로 생각하면 '~이다'와 '있다'에는 연관성이 없어 보이지만,고민해 보면, 영어의 be동사가 이 두 가지 뜻을 가지게 된 것에는어느 정도 이유가 있습니다. 『영어 문장의 체계』 71페이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This phone is out of order. 이 전화기는 고장났다. ‘This phone is’를 ‘이 전화기가 있다(존재한다)’로 생각하면전치사구 ‘out of order(고장 난)’를 더했을 때의 뜻, “이 전화기는 고장났다”와 많은 차이를 느낄 수 있습니다.이 경우에는 ‘This phone is’를 ..

반응형